테슬라: 캐시 우드의 목표 주가 1,500달러 가능한가?
22년 9월부터 23년 1월초까자 급락하던 테슬라 주가가 다시 회복 국면을 맞고 있습니다. 아크 인베스트먼트의 캐시 우드는 앞으로 5년 뒤 테슬라 주가는 현재 대비 10배 정도 상승할 것으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이 글은 아크 인베스트먼트의 테슬라 주가 긍정 평가의 근거를 살펴보고 이를 비판적으로 해석하고자 합니다. 한 주 당 약 1,500달러, 가능할까요?
버즈피드 생성 AI 전략 평가
AI는 현재 기준 가장 규모가 큰 문화전쟁을 발생시키고 있습니다. 중고등학교 및 대학교에 ChatGPT를 적극 도입할 것인지에 대한 논쟁이 미국 및 유럽 전역에서 일어나고 있습니다. 정신 상담에 ChatGPT 활용 여부는 비대면 진료 도입 때와 유사한 논쟁을 낳고 있습니다. 생성 AI 한계점을 강조하면서 그 열린 가능성에 대한 논의를 제한하기도 합니다. ChatGPT로 MBA
AI Native 세대(1): 구글이 래리 페이지와 세르게이 브린을 소환한 이유
밀레니얼 세대를 Internet Native라고 하고, Gen Z를 Mobile Native라고 합니다. 2010-2024년 태어난/날 세대를 일부에선 알파세대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알파세대의 특징을 가상(virtural) 세계라고 합니다. 틀렸습니다. 이 새로운 세대의 핵심 특징은 AI Native입니다. 이들은 일기나 블로그를 쓸 때 자신이 직접 만든 다양한 봇(bot)의 도움을 받을 것입니다. 때론 지그문트 프로이트를
틱톡 금지 가능성과 카카오톡 및 라인의 숙제
이 글은 틱톡의 위치정보 불법 수집 스캔들을 소개하고 미국에서 틱톡이 금지될 가능성을 분석하고 있습니다. 또한 틱톡을 둘러싼 지정학적(geopolitical) 갈등이 심화되는 상황에서 카카오톡과 라인에게 주어진 숙제가 무엇인지 주장하고 있습니다. 미국에서 2023년 틱톡이 금지될 가능성(!)이 크게 증가했습니다. 틱톡 직원이 틱톡에 비판 기사를 쓴 기자들의 위치정보를 법을 어기면서 파악했기 때문입니다. 틱톡
MS의 OpenAI 투자 내용과 의미 분석: 잠재력과 불확실성
2022년 12월 11일 ChatGPT는 어떻게 구글과 네이버를 위협하는가에서 전망한 것처럼 검색시장에 변화가 시작되었습니다. 구글은 ChatGPT관련 내부적으로 Code Red를 발동했고 MS는 자사 검색서비스인 빙(Bing)에 ChatGPT를 결합시키고 OpenAI에 100억 달러를 투자한다는 소문(!)이 흘러나오고 있습니다. 이 글은 MS와 OpenAI 협업이 가지는 전략적 의미와 한계를 분석하고 있습니다. 먼저 인공지능 전문가 게리
머신러닝과 전통 소프트웨어의 차이점을 배워야 하는 이유
AI가 다시 화두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Generative AI 때문만은 아닙니다. 메타의 침체와 틱톡의 성공이 상징하는 바는 큽니다. 2012년 페이스북이 상장한 이후 2010년대는 스마트폰과 소셜 미디어의 시대였습니다. 틱톡은 소셜 그래프 피드를 인공지능 피드로 바꾸었습니다. 새로운 시대를 상징하는 사건입니다. 이번 글은 인공지능의 기초를 구성하는 머신러밍이 전통 소프트웨어와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를
테슬라의 4가지 문제 및 한계와 4가지 경쟁 우위
테슬라의 주가가 급락하고 있습니다. 이 글은 테슬라의 주가를 뒷받침하고 있는 테슬라의 펀더멘털(fundamentals) 분석을 담고 있습니다. 먼저 테슬라가 직면한 문제, 그러나 극복할 수 있는 도전을 설명드리겠습니다. 그 후 테슬라가 가질 수 없는 직접 그리고 간접 네트워크 효과를 분석하겠습니다. 네트워크 효과는 승자독식(a winner takes all)의 시작점입니다. 바로 플랫폼의 힘입니다.
2022년 중요하게 살펴본 것과 2023년 기대: Generative AI, 소셜 미디어, 크립토, etc.
안녕하세요, 강정수입니다. 2022년을 끝내면서 어떤 글을 쓸까 고민하다 2022년 제가 쓴 글에 기초해서 한 해를 되돌아보려 합니다. 그 과정에서 2023년을 움직이는 것은 무엇일지도 살펴보겠습니다. 2022년 Exciting f(x)는 The Core로 통합되었습니다. 개인 미디어에서 발전된 전문 미디어로 성장하기 위한 첫걸음이었습니다. 저는 The Core에서 비즈니스와 Web3 카테고리에서 분석 중심의 글을 쓰고
틱톡이 바꾸고 있는 음악산업: 좁아지는 멜론(Melon)의 입지
클레이 셔키는 끌리고 쏠리고 들끓다(Here Comes Everybody)에서 "우리가 커뮤니케이션하는 방법을 바꾸면 우리는 사회를 바꾼다(When we change the way we communicate, we change society)”라고 주장했습니다. 거창하게 사회는 아니어도 음악을 매개하는 방식 또는 뮤지션과 팬이 커뮤니케이션하는 방식이 바뀌면 음악 산업이 바뀝니다. 지금까지 음악은 완성된 제품(product)으로 시장에
ChatGPT는 어떻게 구글과 네이버를 위협하는가
지난 글에서 ChatGPT 또는 Generative AI의 기능성으로 구글, 네이버 등 검색서비스에 도전이 될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번 글에서 그 가능성과 근거를 따져보도록 하겠습니다. 검색 서비스의 변화가 가능합니다. 구글 또는 네이버보다 코딩, 이미지 생성 등 특정 작업(task) 수행을 할 수 있는 Generative AI가 전통 검색 서비스를 대체할 수 있습니다. OpenA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