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6/03] 셰릴 샌드버그의 퇴사이유는? + 이동진의 만점 영화 추천
안녕하세요. 김경달입니다. 셰릴 샌드버그의 메타 퇴사 소식이 계속 화제입니다. 워낙에 뛰어난 재능으로 구글에서도 큰 기여를 했고, 페이스북으로 건너와 광고모델을 정립하면서 시총 6위에 오를 정도로 성장시킨 주역이었죠. 하지만 최근 몇년사이 개인정보 이슈와 내부고발자 폭로 등 사회적 비판에 직면한 상황에다 메타버스로 비전을 전환한 뒤 수익성 악화로 고전하는 국면에서의 이탈이어서 주목받기도 합니다. 개인
[05/13] 구글 글래스, 10년만에 다시 등장!
안녕하세요. 씨로켓의 김경달입니다. 주식시장에다 암호화폐 시장까지 크게 출렁이며 어수선한 시절입니다. 그래도 구글은 연례 개발자회의를 통해 AR 기술을 접목한 새로운 아이디어들과 하드웨어 신제품을 선보였습니다. 이번주 씨로켓 뉴스레터에선 지난달부터 시작한 '위클리 브리핑' 방식을 접목해 브리핑 포맷으로 정리해 봤습니다. 아울러, '검색의 미래' 관련해서 앤드리슨 호로위츠(a16z)에 올라온 글을 번역한 글도 소개합니다. 공지1.
[04/01] 2022 테크 트렌드 보고서, 다운받아 보세요
안녕하세요. 김경달입니다. 오늘은 Tech Trend에 대한 668쪽짜리 보고서를 소개합니다. The Future Today Institute(대표 Amy Webb)에서 매년 펴내고 있는 보고서인데요. AI부터 메타버스, Connected Home, Energy & Space까지 14개 분야에 걸쳐 예시와 전망을 담고 있습니다.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링크가 들어 있습니다. 그리고, 다음주 금요일(4월8일)에 블루닷 세미나가 열립니다.
[03-25] Big Tech 기업들, 유럽에선 항복?
안녕하세요. 김경달입니다. 오늘은 '최근 EU에서 구글과 페이스북 등 미국 빅테크 기업들을 향해 엄격한 규제법안을 준비하고 있는 동향'과 '이더리움과 비탈릭 부테린을 주목하는 이유' 두 글에 대한 요점을 전합니다. 유료구독자용 글의 발췌입니다. 이왕이면 유료구독을 해서 전체 글을 읽어보시길 권합니다. 씨로켓에서 Shop을 열었습니다. 앞으로 세미나 참가권과 리포트, 강좌 등을 판매할 예정입니다. 4월 8일
[03/18] 일론 머스크의 10년치 트윗 분석해보니...
안녕하세요. 씨로켓 김경달입니다. 얼마전 일론 머스크가 비트코인의 창시자의 이름 '사토시 나카모토'가 삼성 도시바 등의 회사로고에서 따온 것이라는 농담성 이미지를 트윗한 적 있는데요. 일론이 창시자 아니냐는 질문도 꾸준했던 터라, 관련 정보를 검색하며 찾아보면서 관심이 계속 커지더군요. 때마침 그의 10년치 트윗을 분석한 글을 발견해서 우선 이걸 소개합니다. 더불어 몰랐던 정보들도 많이 접했는데요.
[03/11] 일상을 개선하는, 소소한 꿀팁 50가지
안녕하세요. 씨로켓 에디터 김경달입니다. 오늘은 '가디언'이 소개한 작고 사소하지만, 심신의 평화를 얻는데 도움되고 일상 생활에 유용할 수 있는 조언들을 공유합니다. 더불어 틱톡에서 넷플릭스와 타코벨 등 브랜드들이 성과를 얻은 성공사례를 소개합니다. 최근 틱톡이 내놓은 'What's Next?'라는 제목으로 마케팅 인사이트를 담은 리포트를 함께 전합니다. BTS의 성공키워드를 집중 분석, 칼럼으로 연재중인 임성희박사의
[03/03] 정보전쟁 - 우크라이나가 러시아를 이기고 있다!
안녕하세요. 씨로켓의 김경달입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략이 계속 이어지고 있는데요. 푸틴이 잘못된 욕심을 하루빨리 접고 평화가 찾아오길 기원하는 마음입니다. 이번 사태 관련 미디어들이 '정보전쟁' 차원에서도 다룬 기사가 제법 보여서 소개합니다. 서구사회의 대러 제재와 궤를 같이 하는 Big Tech기업들의 발빠른 반전 움직임도 잇따르고 있어 모아봤습니다. 요즘 씨로켓에 신간을 보내오는 출판사가 많이 늘었습니다.
[YouTube 2022] 씨로켓 추천 채널 #01 음악Playlist
씨로켓은 매년 <유튜브 트렌드> 책을 펴내고 있습니다. 추천 채널 77개도 포함되는데요. 추천 채널은 씨로켓리서치랩 멤버들이 3개월에 걸쳐 작업해 선정합니다. 다양한 분들을 인터뷰하면서 유튜브 구독리스트 및 채널 추천을 받는 한편 자체 조사를 병행해서 DB를 꾸리고 그 가운데 (약 15개)카테고리별로 의미있는 채널을 골라내는 방식이죠. 최근 3년간 231개의 채널을 추천했는데요.
[유튜브 저널리즘] 언론지형도의 변화 - 토론
KBS1TV [질문하는 기자들Q]에서 12월 26일 '유튜브'와 '언론'을 키워드로 삼아 토론한 내용을 방송했습니다. 저(씨로켓의 김경달)도 패널로 참가했습니다. 대략 아래와 같은 주요 주제로 얘기가 이어졌는데요. 유튜브에 게시된 본 방송 영상과 함께, 추가적으로 느낀 점들을 덧붙여 공유합니다. <유튜브 저널리즘, 공유지의 비극인가 대안언론인가> 1. 언론대신 유튜브 찾는 시대... 유튜브가
유튜브 트렌드 2022 - 브리핑 영상!
<유튜브 트렌드 2022> 책을 보고 영상을 제안해 온 곳이 있었습니다. 유튜브 채널 OPL인데요. 훈픽처스 김남훈대표가 운영중인 채널이고, 이름은 One Point Lesson의 준말이라고 합니다. 유튜브트렌드 책에 포함된 대담에도 참여해준 고마운 분의 제안이어서 흔쾌히 응했습니다. 책을 아직 안 본 분은 이 영상을 통해 책의 1/3 가량 기술된 내용의 핵심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