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혁명의 주역들, AI 시대에도 살아남을 수 있을까?
스마트폰부터 AI까지, 패러다임의 변화와 승자의 저주💡'AI 시대'의 판도가 어느 정도 정립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그렇다면 직전 시대인 '스마트폰 시대'의 주역들은 앞으로도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을까요? 스마트폰 시대를 이끈 애플(하드웨어)과 AWS(클라우드)는 AI 시대에도 각자의 강점을 살린 전략을 내세우고 있습니다. 애플은 온디바이스 AI와 개인정보 보호를, 아마존은 클라우드 기반
컨설팅 공룡 맥킨지, 인력 5천명 감축...AI가 새로운 위협
[1] 맥킨지 경쟁자는 AI?세계 최대 전략 컨설팅펌 맥킨지(McKinsey)는 지난해 성장률이 2%에 그치고 인력도 4만5천 명에서 4만 명으로 줄어드는 등 이례적인 침체를 겪었습니다. 경기 불확실성뿐 아니라 경쟁사인 BCG와 베인에 시장 점유율을 빼앗긴 것을 주요 원인으로 꼽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컨설팅펌 외에도 새로운 위협들이 등장했단 점에 주목해봐야 합니다.
X보다 반말이 편해서? 스레드 이용시간 8.3배 폭증
X와 뭐가 다르냐고? SNS 스레드 '반말'의 진격한동안 조용했던 텍스트 기반 SNS 스레드(Threads)가 국내에서 다시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지난 4월 기준 국내 총 이용 시간은 6억 7,300만 분으로 전년 대비 8.3배 늘었습니다. 이용자 수도 123% 증가한 609만 명에 달했는데요. 같은 기간 이용자 수 738만 명을 기록한 X(
AI, 인류 역사상 최대 '쩐의 전쟁' 열다
빅테크 AI 투자 3조 달러, 미국 GDP 0.5% 끌어올린다💡AI를 둘러싼 자본 전쟁이 이미 본격화됐습니다.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메타 등 미국의 빅테크 기업들은 올해에만 AI 인프라 구축을 위해 약 4000억 달러(약 540조 원)에 달하는 자본지출(CAPEX)를 예고했습니다. 이같은 투자 흐름은 향후 수년간 더 가속화될 것으로 보이며,
[브리핑] "당장 금리 내려라"...트럼프의 경제지표 불신과 Fed 비판
[1] 트럼프 "고용보고서 조작됐다…당장 금리 내려야"트럼프 대통령이 또 놀라운(?) 주장을 했습니다. 트럼프 미디어가 운영 중인 '트럼프를 위한' SNS 트루스소셜에 "(1일 발표된) 미국 고용보고서는 조작됐다"며 "나와 공화당을 난처하게 만들려 고용 지표를 부정적으로 만들었다. 경제는 우리 정부 아래에서 호황이다"라고 주장하는 게시글을 올린 것입니다. 이날 미국 노동부는 고용보고서에서 7월
JP모건, 코인베이스와 손잡고 암호화폐 접근성 대폭 확대
[1] 손잡은 '코인베이스-JP모건'…포인트로 코인 산다전통 금융과 크립토 산업 간의 경계가 또 한 번 허물어지고 있습니다. 코인베이스(Coinbase)와 JP모건이 손잡고, 수백만 명의 JP모건 고객들이 암호화폐에 더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새 기능들을 발표했습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은행 계좌 직접 연결: 2026년부터 JP모건 고객은 당사의 보안API를 통해 본인 계좌를
Z세대 73% “친구보다 챗GPT에 고민 털어놔요”
[1] 정서적 위안까지...Z세대에게 AI는 새로운 친구Z세대 구직자 10명 중 7명 이상이 친구보다 챗GPT 같은 인공지능(AI)에게 먼저 고민을 털어놓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채용 플랫폼 진학사 캐치가 Z세대1,188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에 따르면, 응답자의73%가 실제 사람보다 AI에게만 고민을 털어놓은 경험이 있다고 답했습니다. 고민 주제로는 ‘취업·진로(61%)’, ‘인간관계(33%
'딥마인드 CEO' 데미스 하사비스가 바라보는 AI의 미래는?
이세돌을 이긴 AI의 아버지가 경고하는, AGI의 두 가지 위험딥마인드의 CEO로서 AI 연구를 이끌어온 데미스 하사비스(Demis Hassabis)의 인터뷰입니다. 렉스 프리드먼(Lex Fridman)라는 미국의 과학자 겸 팟캐스터의 유튜브에서 컴퓨터와 AI는 물론 게임, 프로그래밍, 모델링 등 온갖 종류에 대한 자신의 인사이트를 공유했습니다. 아래는 내용의 요약본입니다. 시간이 되신다면 영상 전체를 보시는
2025년 소비 트렌드를 관통하는 핵심 키워드는?
[1] AI와 인플레이션, 2025년 소비자 마음 가르는 두 축💡2025년 상반기를 강타한 소비자 트렌드는 인공지능(AI) 기술의 일상화, 경제적 불확실성 속의 소비 패턴 변화, 그리고 삶의 질에 대한 새로운 인식에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 '2025년 중반 소비자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AI는 이미 우리 삶에 깊숙이 들어왔고, 경제적 불안감은 지속되지만 소비 심리는
외부 인재 영입의 함정: 하버드 연구가 밝힌 불편한 진실
"인재(人才)", 영입하는 게 무조건 득일까세계 최고의 AI 슈퍼스타들을 둘러싼 쟁탈전이 과열 중이죠. 마크 저커버그는 직접 슈퍼인텔리전스 랩의 인재 영입에 관여하며 AI 인재들을 위해 수천억 원 이상을 투자 중입니다. (그림 참조) 오픈AI도 인재 유출을 막기 위해 보상 시스템을 조정 중이라고 하죠. 최근 유출된, 메타의 AI 개발조직 'Super Intelligence'팀 인력 구성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