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래픽 급감' AI 검색 시대, 뉴스미디어의 생존 전략
AI 검색 시대가 가까이 왔습니다. 퍼플렉시티가 신호탄을 쏘아올렸고, 구글이 AI Overview로 본격화하고 있습니다. 네이버는 네이버대로 AI 검색 'CUE:'을 모바일 버전에 적용하기 위해 한창 분주합니다.
AI 검색 시대가 가까이 왔습니다. 퍼플렉시티가 신호탄을 쏘아올렸고, 구글이 AI Overview로 본격화하고 있습니다. 네이버는 네이버대로 AI 검색 'CUE:'을 모바일 버전에 적용하기 위해 한창 분주합니다.
[에디터 주] 닉 디아코풀러스 교수의 최근 글, 'The Impact of Generative AI on Journalistic Labor'를 번역했습니다. 더코어 독자분들 가운데 미디어 산업 종사자분들은 많이 궁금해 하실 것 같았습니다. 관련 링크들도 넣어두었으니 참고해주시면 좋겠습니다.최근 사이언스 저널에 발표된 연구는 ChatGPT와 같은 최신 대형 언어 모델(LLM)을 사용하면 수백 개의 직업에서 평균
AI 검색이 주류로 넘어가는 시점입니다. 검색의 기반 기술이 시맨틱 중심의 검색증강생성으로 바뀌고 있습니다. 더이상 키워드 중심의 SEO 전략이 통하지 않는 시대로 진입하고 있습니다.
💡현재는 2025년 3월18일 버전입니다. 추후 계속 업데이트 될 예정입니다. 한번 구매하시면 업데이트 버전도 무료로 내려받으실 수 있습니다.생성 AI를 우리 뉴스룸에선 어떻게 활용해야 할까 고민이 많으실 겁니다. 생성 AI가 무엇을 잘하고 무엇을 잘 못하는지 판단하기도 쉽지 않을 겁니다. 어떤 도구를 써야 우리 회사에 도움이 될 만한지도 선택하기 쉽지 않을 테고요.
[자료] PR 업무 현장에서의 AI 활용방안 최근 한 대기업의 PR마케팅 부문에서 'AI에 대한 이해 + 현장 활용방안'을 주제로 특강을 했는데요. 2시간 가량 진행했던 PT 자료입니다. (총 99장) 원래의 특강 자료에는 예시 동영상이 제법 포함돼 있기도 해서 분량이 더 많았는데 공유용 PDF 자료를 만들면서 압축한 버전입니다. 일부 예시는 url을 넣는 등 가급적
메러디스 코핏 레비엔 뉴욕타임스 CEO의 콘퍼런스콜 발언을 번역하고 정리했습니다. 2021년 2분기부터 2024년 2분기까지입니다. 이후 IR이 진행되면 업데이트 될 수도 있습니다. 기존 구매자분들은 다시 다운로드를 받으시면 됩니다.
올 2월 미디어고토사 '런치스터디'에서 발표한 자료입니다. 알고리즘의 다양성이 실제로 민주주의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가를 탐색해 보는 논문을 요약하고 관련 내용을 소개한 자료입니다. 어떤 방식과 목표로 설계됐느냐에 따라 알고리즘은 다른 효과를 내기 마련입니다. 알고리즘 방식을 완전히 걷어내야 한다 같은 극단적인 논의와는 별개로 알고리즘을 어떻게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설계하느냐도 무척이나 중요한
탈포털이 국내 언론 산업 안에서 어젠다가 되었다가 조금은 시들해지는 형국입니다. 그것이 가져 올 위험, 대처방안의 세부 전략 부재 때문이 아닌가 합니다. 그래서 마련한 행사였고, 그와 관련해 작성한 발표자료입니다. 아래 한 장의 슬라이드를 위해서 다양한 사례들과 프레임워크가 동원이 됐습니다. 왜 이러한 절차가 필요하고 실제로 그 절차로 유익을 얻은 사례를 소개하고 있습니다.
탈포털이 국내 언론 산업 안에서 어젠다가 되었다가 조금은 시들해지는 형국입니다. 그것이 가져 올 위험, 대처방안의 세부 전략 부재 때문이 아닌가 합니다. 그래서 마련한 행사였고, 그와 관련해 작성한 발표자료입니다. 아래 한 장의 슬라이드를 위해서 다양한 사례들과 프레임워크가 동원이 됐습니다. 왜 이러한 절차가 필요하고 실제로 그 절차로 유익을 얻은 사례를 소개하고 있습니다.
여러 언론사들이 신규 미디어 프로젝트를 기획할 때 전통적인 워터폴 방식을 고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것이 실패로 이어지면 신규 프로젝트 실험 자체가 차단되는 경우도 빈번합니다. 신규 미디어 프로젝트 특히 버티컬 프로젝트를 기획하고 진행할 때 접근법을 달리해야만 실패 확률을 낮출 수 있습니다. 저널리즘 프로젝트에서 왜 프로덕트 씽킹이 중요한지는 이 문서에 포함된 아래 슬라이드를
누구에게 도움이 될까요?유료 구독을 검토 중인 언론사 전략 담당자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유료 구독을 결정한다고 쉽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어떤 장기 전략을 필요로 하는지, 성과 지표 체계는 어떻게 바뀌어야 하는지, 어떤 기반 기술이 필요한지 등 고려할 점들이 많이 있습니다. 짚어야 할 점들을 하나하나 설명을 해두었습니다. 어떤
미디어 지형은 늘 변화의 소용돌이 속에 있습니다. 서로 다른 방향의 힘이 충돌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코로나 팬데믹을 겪으며 뚜렷한 변화의 방향을 감지할 수 있습니다. 이번 세미나는 그 변화의 방향을 정리하고 한국 미디어가 무엇을 할 것인가를 고민하는 첫 시작이 될 것입니다.
'탈포털'을 언급하는 빈도가 산업 안에서 늘어나고 있습니다. 포털의 뉴스 정책 변경이 예견되면서 외재적으로 고민이 강제되는 측면이 있습니다. 그럼에도 언론계 내부에선 '때가 온 듯하다'라고 느끼는 분위기가 감지됩니다. 탈포털은 그것을 외친다고 이뤄지지 않습니다. 전면적인 탈포털이 가져올 위험성을 고려하지 않으면 오히려 역효과만 낼 수 있습니다. 언론이 포털에 종속된 구조가 다층적이어서입니다. 잠시 아래 그림을
모두 30페이지로 구성된 자료입니다. 다양성 기반의 뉴스 추천 알고리즘이 민주주의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가를 논문 요약, 분석, 인사이트 등을 통해서 제시하고 있습니다. 추가로 읽을 만한 논문도 첨부해 두었습니다.